공퀴즈 검색

수산양식기사

퀴즈 톡 (수산양식기사)

  • img

    심마니

    12월 19일

    <문제 해설>
    <류결절증(포토박테리움병)>
    - 원인균: 포토박테리움 담셀라 피시사이다(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그람음성
    - 수온 20~25℃ 여름철에 방어를 비롯하여 돌돔, 참돔, 감성돔, 넙치 등의 해수어류에 발병
    - 유백색 결절, 무리 이탈, 체색 흑화, 비장 및 심장에 다수의 작은 흰 점


    수산양식기사 2018년 8월 19일
  • img

    심마니

    12월 19일

    <문제 해설>
    [1] 자외선 조사 시 사육수 내 미생물 세포의 DNA를 불활성화시켜 생물을 죽인다.


    수산양식기사 2018년 8월 19일
  • img

    심마니

    12월 19일

    적수온 10-20도


    수산양식기사 2018년 8월 19일
  • img

    심마니

    12월 19일

    랩도바이러스임


    수산양식기사 2019년 3월 3일
  • img

    심마니

    12월 19일

    배양시작(17-20도) 5000-6000x -> 19-20도 3000-4000lx


    수산양식기사 2019년 8월 4일
  • img

    심마니

    12월 18일

    비례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img

    심마니

    12월 18일

    그물과 말목으로 간석지를 막고 그 안에 종패를 방양하여 양성하는 방법이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img

    심마니

    12월 18일

    피조개는 내만성 패류로 육수의 영향을 받는 내만이나 내해가 양성장으로 알맞다
    저질은 개흙인 곳을 좋아하지만 개흙이 너무 깊지 않은 곳이 좋으며 해수의 흐름이 좋은 곳이어야한다
    파도가 적은 내만으로 적조 발생이 없는 곳이여야한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img

    심마니

    12월 18일

    참가리비 40일 닭새우 80일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img

    심마니

    12월 18일

    부유유생기간에는 먹이를 먹지않고, 저서초기부터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img

    심마니

    12월 18일

    <문제 해설>
    3번은 조피볼락의 출산시기 추정과 관련이 없다. 출산이 가까워지면 아가미 개폐 운동이 평소보다 심해지고 출산 2~3일 전부터는 일몰 전후가 되면 수조를 배회하는 행동을 한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img

    심마니

    12월 18일

    m2당 25~30 개체 정도


    수산양식기사 2020년 8월 22일
  • img

    심마니

    12월 18일

    전복류는 저서 생활 초기에 부착성 규조 등을 주로 먹는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8월 22일
  • img

    심마니

    12월 18일

    올챙이형유생은 부착생활에 들어가기전에 꼬리부분이 몸체에 흡수된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8월 22일
  • img

    심마니

    12월 18일

    넙치치어 60,000g인데 고려안하고 무게만 20톤/80톤해보면 25퍼니까 대충 답은 20퍼아님 25퍼임. 근데 2백만-6만/ 8백만인데 6만 빼봐야 20까지 안내려갈듯. 대충 약 25퍼.


    수산양식기사 2020년 8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