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양식기사
-
2021년 8월 14일 출제 (99문제)
방어의 최적성장수온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8 ~ 12℃ 2) 13 ~ 18℃ 3) 18 ~ 25℃ 4) 28 ~ 32℃
-
2021년 3월 7일 출제 (100문제)
은어나 송어류의 성숙조절에 주로 이용되는 것은? 1) 수온 2) 광주기 3) 염분 4) pH
-
2020년 8월 22일 출제 (100문제)
어류 양식 시 사료 섭취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증가한다. 2) 일반적으로 수온이 높을수록 증가한다...
-
2020년 6월 6일 출제 (99문제)
사료계수에 대한 내용을 맞게 설명한 것은? 1) 어체 1단위 무게만큼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사료의 무게 단위 2) 사료효율과 같은 의미 3) 숫자...
-
2019년 8월 4일 출제 (99문제)
수산동물 중 미국에서 최초로 생명물질 특허가 취득된 종은? 1) 참굴 2) 틸라피아 3) 채널메기 4) 무지개송어
-
2019년 3월 3일 출제 (99문제)
발안율이 80%인 경우 발안란 20만립(粒)을 확보하고자 할 때 1마리 평균 2500립(粒)짜리 송어친어의 필요한 마릿 수는? 1) 75마리 2...
-
2018년 8월 19일 출제 (100문제)
넙치 종묘생산 시 수온을 18℃로 한다면 변태가 끝나는 시기는 대략 부화 후 며칠 정도인가? 1) 7일 2) 10일 3) 20일 4) 35일
-
2018년 3월 4일 출제 (99문제)
인공종묘생산 시 부화 후 먹이생물 단계를 거치지 않고 처음부터 인공배합사료를 공급하는 종묘생산방법이 일반적인 어종은? 1) 무지개송어 2) 넙치...
-
2017년 8월 26일 출제 (97문제)
무지개송어 치어 200kg을 방양하여 100일 동안 600kg로 성장하였다. 이 때 사료량이 800kg 일 경우 사료효율(%)은? (단, 폐사개...
-
2017년 3월 5일 출제 (100문제)
가공 형태에 따른 사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건조사료 2) 가루사료 3) 크럼블사료 4) 미립자사료
퀴즈 톡 (수산양식기사)
-
심마니
12월 19일
<문제 해설>
<류결절증(포토박테리움병)>
- 원인균: 포토박테리움 담셀라 피시사이다(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그람음성
- 수온 20~25℃ 여름철에 방어를 비롯하여 돌돔, 참돔, 감성돔, 넙치 등의 해수어류에 발병
- 유백색 결절, 무리 이탈, 체색 흑화, 비장 및 심장에 다수의 작은 흰 점
수산양식기사 2018년 8월 19일 -
심마니
12월 19일
<문제 해설>
[1] 자외선 조사 시 사육수 내 미생물 세포의 DNA를 불활성화시켜 생물을 죽인다.
수산양식기사 2018년 8월 19일 -
심마니
12월 19일
적수온 10-20도
수산양식기사 2018년 8월 19일 -
심마니
12월 19일
랩도바이러스임
수산양식기사 2019년 3월 3일 -
심마니
12월 19일
배양시작(17-20도) 5000-6000x -> 19-20도 3000-4000lx
수산양식기사 2019년 8월 4일 -
심마니
12월 18일
비례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심마니
12월 18일
그물과 말목으로 간석지를 막고 그 안에 종패를 방양하여 양성하는 방법이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심마니
12월 18일
피조개는 내만성 패류로 육수의 영향을 받는 내만이나 내해가 양성장으로 알맞다
저질은 개흙인 곳을 좋아하지만 개흙이 너무 깊지 않은 곳이 좋으며 해수의 흐름이 좋은 곳이어야한다
파도가 적은 내만으로 적조 발생이 없는 곳이여야한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심마니
12월 18일
참가리비 40일 닭새우 80일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심마니
12월 18일
부유유생기간에는 먹이를 먹지않고, 저서초기부터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심마니
12월 18일
<문제 해설>
3번은 조피볼락의 출산시기 추정과 관련이 없다. 출산이 가까워지면 아가미 개폐 운동이 평소보다 심해지고 출산 2~3일 전부터는 일몰 전후가 되면 수조를 배회하는 행동을 한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6월 6일 -
심마니
12월 18일
m2당 25~30 개체 정도
수산양식기사 2020년 8월 22일 -
심마니
12월 18일
전복류는 저서 생활 초기에 부착성 규조 등을 주로 먹는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8월 22일 -
심마니
12월 18일
올챙이형유생은 부착생활에 들어가기전에 꼬리부분이 몸체에 흡수된다
수산양식기사 2020년 8월 22일 -
심마니
12월 18일
넙치치어 60,000g인데 고려안하고 무게만 20톤/80톤해보면 25퍼니까 대충 답은 20퍼아님 25퍼임. 근데 2백만-6만/ 8백만인데 6만 빼봐야 20까지 안내려갈듯. 대충 약 25퍼.
수산양식기사 2020년 8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