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모드 10문제 진행중

한 문제씩 정답을 확인하며 문제를 푸는 모드입니다.

0%

1. 다음 우리말의 역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1
    근대 국어 시기에 방점 표기 및 'ㆁ'과 'ㅿ'이 문자 체계에서 사라진다.

  • 2
    고대 국어의 향가에서는 주체 높임법과 객체 높임법은 분명히 확인되며 청자를 높이는 상대 높임법은 잘 확인되지 않는다.

  • 3
    중세 국어 시기에 '뫼, ᄀᆞᄅᆞᆷ'은 각각 한자어 '산(山), 강(江)'으로 바뀌는 것과 같이, 고유어가 눈에 띄게 없어지고 한자어로 대체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 4
    중세 국어에서는 존칭의 호격 조사 '하', 인칭법 및 대상법 선어말 어미 '-오/우-', 높임법 선어말 어미 '-시-'(주체 높임법), '-ᄉᆞᆸ-, -ᄌᆞᆸ-, -ᅀᆞᆸ-'(객체 높임법), '-ᅌᅵ-'(상대 높임법) 등이 나타나는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
오류 내용 신고